탄소융합에너지공학과
탄소융합에너지공학과(일반/계약)
- Department of Carbon Convergence and Energy Engineering
- 탄소융합에너지공학석사(일반/계약)
- Since 2012.3
- ☎ 220-2957
교육 목표
- 이론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유능한 탄소전문 고급인력양성
- 탄소 전공지식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에 효율적으로 응용하여 융합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탄소융합기술인력양성
- 참여기업 맞춤형 교육을 통한 현장밀착형전문인력양성
전공 및 연구분야
- 탄소융합에너지공학과는 전국 거점 탄소 전문교육기관으로 성장하여 국내의 녹색성장을 주도하는 탄소소재산업 Hub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함. 전략산업 전문인력양성 취업연계형 특성화과정으로 탄소소재의 수요가 큰 복합재, 자동차, 건축토목 등의 분야의 전문지식과 실무지식을 중점적으로 배운다.
- 전공은 탄소융합에너지공학으로 구분하고 그 아래 다양한 연구 분야를 포함한다.
– 탄소성형, 탄소복합소재설계, 탄소나노튜브, 활성탄, 그래핀, 에너지공학 등
참여 교수
성명 | 최종학위 | 전공분야 | 연구분야 |
---|---|---|---|
고상철 | 공학박사 | 기계공학 | 유압공학 |
강성수 | 공학박사 | 고체역학 | 재료역학 |
임애란 | 이학박사 | 물리화학 | 탄소재료물성 |
이명규 | 공학박사 | 구조공학 | 구조해석 및 고분자수지 |
안계혁 | 공학박사 | 탄소재료 | 탄소섬유 및 활성탄소 |
곽이구 | 공학박사 | 정밀기계 | 탄소비파괴검사 |
한철민 | 공학박사 | 재료공학 | 생체재료 |
홍성주 | 공학박사 | 열역학 | 열역학, 열전달 |
김병주 | 공학박사 | 고분자공학 | 고분자공학, 탄소재료 및 활성탄소 |
최영철 | 이학박사 | 탄소재료 | 나노탄소소재 |
학과 내규
- 선수과목
- 이공계열 이외의 전공자 입학 시 지정교과목 2과목 이수(2012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)
학점 이수 로드맵
구분 | 학기 | 이수 교과목명 | 학점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탄소융합에너지전공 (석사) |
1학기 | (공통) 고급화학 (공통) 탄소융합특론Ⅰ (전공) 나노탄소 (전공) 나노분석특론 |
3 3 3 3 |
전공 택 1 |
2학기 | (공통) 탄소융합특론Ⅱ (전공) 고급탄소재료학 (전공) 탄소열전달 (전공) 탄소에너지융합공학 (전공) 고분자공학개론 (전공) 전산해석 및 실습 |
3 3 3 3 3 3 |
전공 택 2 | |
3학기 | (전공) 탄소성형 및 가공 (전공) 탄소복합재료설계 (전공) 활성탄소특론 (전공) 수치모델특론 논문지도 Ⅰ |
3 3 3 3 P |
전공 택 1 | |
4학기 | (전공) 인턴쉽 논문지도 Ⅱ |
3 P |